민희의 코딩일지

[JS] 백준 4344번 평균은 넘겠지 본문

자료구조, 알고리즘/자바스크립트

[JS] 백준 4344번 평균은 넘겠지

heehminh 2023. 1. 2. 03:07
반응형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4344

 

4344번: 평균은 넘겠지

대학생 새내기들의 90%는 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. 당신은 그들에게 슬픈 진실을 알려줘야 한다.

www.acmicpc.net

 

문제

대학생 새내기들의 90%는 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. 당신은 그들에게 슬픈 진실을 알려줘야 한다.

 

입력

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.

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 N(1 ≤ N ≤ 1000, N은 정수)이 첫 수로 주어지고, 이어서 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.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,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
 

출력

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.

 

풀이

테스트 케이스의 개수를 N으로 받아준다.

input을 1줄씩 나눠 arr에 넣어준다. 각 테스트 케이스에서 학생의 수를 testN으로 받아준다. arr에서 testN (arr을 shift를 이용해 배열의 맨 앞 제거) 을 제거해준다.

평균을 구한다. 평균보다 큰 학생의 수를 cnt에 저장한다. 나눠 평균 초과 학생이 전체에서 몇 %를 차지하는지 구한다. 

 

javascript 배열에서 맨 첫번째에 오는 값을 제거하는 방법  

arr.shift();

javascript 소수점 자리 조정하는 방법 (3번째 자리까지)

const result = ((cnt/testN)*100).toFixed(3);

*복습! js에서 평균구하기

const avg = arr.reduce((a,c) => a+c)/arr.length;

 

코드

const fs = require("fs");
let input = fs.readFileSync("/dev/stdin").toString().split("\n");
const N = parseInt(input[0]);

function solution(N, input) {
    for (let i=1; i<=N; i++) {
        let arr = input[i].split(" ");
        for (let i=0; i<arr.length; i++) {
            arr[i] = parseInt(arr[i]);
        }
        const testN = parseInt(arr[0]);

        arr.shift();

        const avg = arr.reduce((a,c) => a+c)/arr.length;

        let cnt = 0;
        for (let i=0; i<arr.length; i++) {
            if (avg < arr[i]) {
                cnt ++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const result = ((cnt/testN)*100).toFixed(3);
        console.log(`${result}%`);
    }
}

solution(N, input);

 

참고

shift

https://sisiblog.tistory.com/263

 

toFixed

https://codechacha.com/ko/javascript-number-ceil-floor-round/

 

반응형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