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희의 코딩일지

[PYTHON] 백준 14247 나무자르기 본문

자료구조, 알고리즘/파이썬

[PYTHON] 백준 14247 나무자르기

heehminh 2023. 1. 26. 18:57
반응형

 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247

 

14247번: 나무 자르기

영선이는 나무꾼으로 나무를 구하러 오전에 산에 오른다. 산에는 n개의 나무가 있는데, 영선이는 하루에 한 나무씩 n일 산에 오르며 나무를 잘라갈 것이다. 하지만 이 산은 영험한 기운이 있어

www.acmicpc.net

 

이 문제는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풀 수 있다.

성장속도가 제일 더딘 나무부터 빠른 나무순으로 정렬 후 베면 된다. 모든 나무를 1번씩만 베는 것이 최적이다.

 

처음 시도한 방식

import sys 
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
heights =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speeds =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
arr = []
for i in range(N):
    arr.append([speeds[i],heights[i]])

arr.sort()

ans = 0
for i in range(N):
    ans += arr[i][1]
    for j in range(N):
        arr[j][1] += arr[j][0] 
    
print(ans)

이 풀이는 테스트케이스는 통과히지만 시간초과가 난다. 시간 제한이 2초인데 N이 100,000까지 들어올 수 있다. range(N)으로 이중 for a문을 돌렸기때문에 시간초과가 발생한다. 따라서 이중 for문을 대체할 방법을 생각해보자.. !!

 

# 백준 14247 나무자르기

import sys 
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
heights =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speeds =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
arr = []
for i in range(N):
    arr.append([speeds[i],heights[i]])

arr.sort()

ans = 0
# for i in range(N):
#     ans += arr[i][1]
#     for j in range(N):
#         arr[j][1] += arr[j][0] -> 시간초과

for i in range(N):
    ans += arr[i][0]*i + arr[i][1]
    # 1*0 + 6
    # 2*1 + 1
    # 3*2 + 2
    # 4*3 + 4
    # 7*4 + 3
    
print(ans)

성장의 폭이 가장 작은것부터 자르고 가장 큰 나무는 N-1번 성장하게 된다. 따라서 성장값 (arr[i][0]*i)와 원래값 (arr[i][1]) 을 더해주었다. 

 

반응형

'자료구조, 알고리즘 >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] 17276 - 배열 돌리기  (0) 2024.07.06
[백준] 15469 - N과 M (1)  (0) 2024.07.06
[PYTHON] 백준 4446 ROT13  (0) 2023.02.05
[PYTHON] 백준 15721 번데기  (0) 2023.02.04
[PYTHON] 백준 2346 풍선 터트리기  (0) 2023.01.15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