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Bestawards
- 백준
- BOJ
- 코드캠프
- map
- getDerivedStateFromProps
- axios
- ts
- 자바스크립트
- Erricson
- Baekjoon
- 훈훈한자바스크립트
- 객체인지
- props
- props.key
- nodejs
- dataFetching
- 15721
- next
- 에릭슨엘지
- Unmounting
- Girls_In_ICT
- react
- javascript
- js
- typescript
- filter
- React.js
- GirlsInICT해커톤
- 이미지스캔
Archives
- Today
- Total
민희의 코딩일지
[백준] 2644 - 촌수계산 본문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644
알고리즘
DFS, BFS
풀이
N: 정점의 개수
x, y: 촌수를 계산해야 하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번호
M: 간선의 종류
같은 연결요소내에 속한 정점의 경우에는 간선의 개수를 세면 되고
같은 연결요소가 아니라면 -1을 출력하면 된다.
7, 3의 경우에는 7, 2, 1, 3을 거쳐야 하므로 아래 코드에서 횟수는 4가 된다. 자기 자신은 빼야하므로 -1을 해주어 답은 3
이 문제는 출력 과정에서 1번 틀렸는데,
처음에는 res = 0 으로 선언해두고, res가 0이라면 -1 출력 아니라면 res 출력으로 짰더니,
res가 0이 아닌 경우 -1과 res값 모두가 출력되었다.
그래서 res를 빈 배열로 만들어두고, 배열의 길이가 0인 경우 아닌 경우로 나누어 출력했다.
전체 코드
# 촌수계산
N = int(input())
x, y = map(int, input().split())
M = int(input())
adj = [[0]*(N+1) for _ in range(N+1)]
for _ in range(M):
u, v = map(int, input().split())
adj[u][v] = adj[v][u] = 1
chk = [False] * (N+1)
res = []
def dfs(now, ans):
chk[now] = True
if now == y:
res.append(ans+1)
return
for nxt in range(N+1):
if adj[now][nxt] and not chk[nxt]:
chk[nxt] = True
dfs(nxt, ans+1)
dfs(x, 0)
if res:
print(res.pop()-1)
else:
print(-1)
반응형
'자료구조, 알고리즘 >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697 - 숨바꼭질 (0) | 2024.07.12 |
---|---|
[백준] 5014 - 스타트링크 (0) | 2024.07.12 |
[백준] 2667 - 단지번호붙이기 (0) | 2024.07.12 |
[백준] 11123 - 양 한마리... 양 두마리... (0) | 2024.07.06 |
[백준] 17276 - 배열 돌리기 (0) | 2024.07.06 |
Comments